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승모근 통증 및 운동방법

by 마이 피티샤 2024. 7. 18.

승모근은 목 뒤에서 시작하여 아래 등뼈까지 이어지는 커다란 마름모 모양의 근육입니다. 우리가 팔을 들어 올리거나, 옆으로 펴고, 팔을 돌리는데 도움을 주는 등 어깨를 움직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입니다. 이는 또한 머리를 뒤로 젖히거나 옆으로 기울이는 데도 연관이 있습니다.

 

마름모모양근육 어깨
승모근 - 어깨근육

 

 

 

해부학적 구성과 기능

 

●승모근 상부 : 목을 회전할 때 사용되거나 팔과 어깨를 들어 올리는데 도움을 줍니다.

●승모근 중부 : 견갑골의 움직임과 팔을 옆으로 펴는데 도움을  줍니다.

●승모근 하부 : 팔을 회전시키거나 상완의 굽힙이나 견갑골의 움직임에 도움을 줍니다.

 

승모근의 통증 요인과 증상  

 

●나쁜 자세 : 장시간 앉아 있거나 웅크린 자세 할 경우 근육이 긴장될 수 있습니다.

●반복적인 동작 : 컴퓨터 작업이나 운동과 같은 반복적인 동작은 승모근의 통증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스트레스 : 스트레스는 근육 긴장을 유발하여 승모근의 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외상 : 낙상이나 교통사고 등 외상으로 인한 근육 손상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목과 어깨 통증 : 승모근의 가장 흔한 증상 중의 하나로 날카롭거나 둔할 수 있으며, 근육이 딱딱해지기도 합니다.

어깨 통증뿐만 아니라 두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때 두통은 일반적으로 머리 뒤쪽이나 측면에 발생합니다. 통증으로 피로감을 유발하고 어깨 근육 약화를 가져오기도 합니다.

 

승모근 통증치료와 운동방법

 

통증부위를 많이 쓰지 않고 쉬게 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얼음찜질로 통증과 염증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기도 하며 경우에 따라 온찜질을 해서 근육을 이완시키고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통증의 정도에 따라 이부프로펜이나 아세트아미노펜과 같은 진통제를 복용하기도 하고 시클로벤자프린이나 메토카르바몰과 같은 근이완제를 사용하여 근육긴장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스트레칭이나 근육강화운동, 마사지, 물리적인 기계요법을 사용하여 통증을 완화하고 관절움직임의 범위를 개선시킬 수도 있습니다. 또는 근육이 딱딱하고 비대해져 근육이 위로 솟은 경우 보톡스를 맞아 미용적인 부분과 통증완화 및 편안함을 추구하기도 합니다.

 

1. 승모근 통증예방 방법

앉아 있을 때나 서있을 때 등이 곧게 펴져 있는지 확인하고 좋은 자세를 유지하고 반복적인 동작을 피해 줘야 하며 자주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요가, 명상 또는 심호흡하고 긍정적인 생각으로 평소 스트레스를 관리하여 근긴장도를 낮춰야 합니다. 어깨 근육을 강화하고 긴장되어 있는 근육을 스트레칭을 통해 이완시켜 주는 운동을 꾸준히 하여야 합니다. 근육건강에 좋은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고 탈수는 근육의 긴장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충분한 수분섭취 하면 도움이 됩니다.

 

2. 승모근 운동방법

●어깨 들어 올리고 내리기- 서서 또는 앉은 자세에서 어깨를 천천히 들어 올려 5초 정도 상태 유지한 후 천천히 내리는 것을 반복합니다.

●목 어깨 스트레칭 - 바른 자세로 앉아 스트레칭할 쪽 팔을 내리고 반대편 손으로 머리를 지긋이 당겨 목 부분이 스트레    칭이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좌, 우 사선으로 방향을 달리하여 반복합니다.

●어깨 스트레칭 - 바르게 앉은 자세로 양손 깍지 끼고 앞으로 쭉 뻗어 주되 고개도 숙이고 5초 정도 유지합니다.

●어깨 승모근 스트레칭 - 앉은 자세에서 팔을 등뒤로 하여 손을 마주 잡고 위쪽으로 당기되 목도 고개를 젖혀 위쪽을 바라보며 10초 정도 유지한 후 힘을 뺍니다. 

 

마무리

목과 어깨에 관여하는 근육인 승모근이  스트레스나 외부적 요인 등으로 통증을 유발하거나 기능적인 약화, 때로는 미용적인 부분에서 고민을 가져다주기도 합니다. 통증요인들을 잘 숙지하고 스트레칭이나 이완 또는 강화훈련등을 통해 삶의 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